건강뉴스
아이 앞에서 스마트폰 보는 부모, 자녀 뇌 발달에 '치명적 타격'

이번 연구는 기존의 전자기기 사용 관련 연구 21건의 데이터를 종합 분석한 것으로, 부모의 스마트폰 사용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을 광범위하게 조사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부모가 자녀 앞에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자주 사용하는 가정의 아이들은 계획, 조직, 주의력 등 핵심 인지 능력에서 현저히 낮은 성과를 보였다. 이는 부모의 전자기기 사용이 자녀와의 상호작용을 방해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일관되게 나타난 결과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부모가 전자기기를 자주 사용하는 모습을 접하는 아이들이 슬픔, 두려움, 걱정과 같은 불안 및 우울증 관련 부정적 감정을 더 많이 경험한다는 사실이다. 연구진은 "부모의 전자기기 사용은 자녀가 인지 발달을 촉진할 수 있는 활동에 참여할 기회를 줄이고, 이는 결과적으로 뇌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설명했다.
아이가 관심을 원하거나 상호작용을 시도할 때 부모가 스마트폰에 몰두하면, 아이는 무시당했다고 느끼고 좌절과 분노를 경험할 수 있다. 부모가 화면에 집중하느라 아이의 말이나 감정 표현에 제때 반응해주지 않거나, 성의 없이 반응하거나, 일관성 없는 반응을 보이면 아이는 정서적 혼란을 겪게 된다. 이러한 상황이 반복되면 아이는 충동적 행동이나 분노 폭발 등 문제 행동을 더 자주 보일 가능성이 높아진다.

연구진은 "부모는 자녀에게 첫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교사이며, 아이는 부모의 반응을 통해 세상과 상호작용하는 법을 배운다"며 "부모의 일관성 없는 반응은 아이에게 정서적 불안을 초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지금까지는 주로 아동의 전자기기 사용이 문제로 지적돼 왔지만, 이번 연구는 부모의 기기 사용 또한 자녀 발달에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명확히 보여주는 중요한 연구다. 연구진은 향후 부모가 전자기기를 언제, 어떤 활동에 사용할 때 자녀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연구진은 "자녀 주변에서 디지털 기기 사용을 제한하고 통제하면 아이에게 줄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이미 2세 미만 아동의 경우 전자기기 사용을 금하고, 2~4세 아동 또한 하루 1시간 이하로 제한해야 한다고 권고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나친 화면 노출이 시력저하부터 감정조절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건강 및 행동 문제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경고한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의학협회 학술지 《JAMA 소아과학》에 'Parental Technology Use in a Child's Presence and Health and Development in the Early Years'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 37억 자산가, 여름휴가 전 "이종목" 매수해라!! 한달
- 난임 고생하다 폐경 후, '57세' 최고령 쌍둥이 출산?
- 男性 발보다 더러운 '거기', 세균지수 확인해보니..충격!
- 서울 전매제한 없는 부동산 나왔다!
- 역류성식도염 증상있다면, 무조건 "이것"의심하세요. 간단치료법 나왔다!
- 인삼10배, 마늘300배 '이것'먹자마자 "그곳" 땅땅해져..헉!
- "한국로또 망했다" 이번주 971회 당첨번호 6자리 모두 유출...관계자 실수로 "비상"!
- 환자와 몰래 뒷돈챙기던 간호사 알고보니.."충격"
- 공복혈당 300넘는 '심각당뇨환자', '이것'먹자마자
- 비트코인으로 4억잃은 BJ 극단적 선택…충격!
- 목, 어깨 뭉치고 결리는 '통증' 파헤쳐보니
- "서울 동작구" 집값 상승률 1위…이유는?
- 로또1등' 수동 중복당첨자만 벌써 19명째 나왔다.
- 이만기의 관절튼튼 "호관원" 100%당첨 혜택 난리나!!